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APEC FSCF, 지속 가능한 식품안전을 위한 글로벌 이슈 본격 논의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작성일
작성일
2025-05-15 05:13:11
 
안전정보
 

APEC FSCF, 지속 가능한 식품안전을 위한 글로벌 이슈 본격 논의

- 식약처, FSCF 의장으로 제주에서 포럼 및 워크숍 개최(5.12.~5.13.)

- “연결, 혁신, 번영을 통한 지속 가능한 식품안전 보장주제로 글로벌 이슈 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512일부터 13일까지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2025 식품안전협력포럼(이하 FSCF**)’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 Food Safety Cooperation Forum

 

FSCFAPEC 회원 간 교역이 활발해지고 식품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아태지역 식품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07년 설립되었다. 매년 각 회원의 식품안전 담당기관 및 유관기관, 국제기구, 전문가 등이 모여 식품안전 규제, 표준, 관리체계에 관한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고 전문기술 교육 등 포괄적인 협력을 추진해 아태지역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식품안전의 미래: 연결, 혁신, 번영을 통한 지속 가능한 식품안전 보장을 주제로 총 13개 회원 대표단 등이 참석하고 식약처는 최초로 FSCF 의장(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을 맡아 아태지역의 식품안전 분야를 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025 APEC 식품안전협력포럼 개요>

 

 

 

일시 / 장소 : ’25.5.12.() ~ 5.13.() / 제주 국제컨벤션센터

참석자 : 14개 회원(한국 포함), 국제기구, 국내 식품안전 분야 유관기관 등

목적 : 아태지역 식품안전 분야 규제조화 등 협력 및 안전관리 역량 강화

구성 5.12, 본회의 의제채택 APEC 사무국 활동 내용 FSCF 세부과제 진행 상황 및 계획 식품안전 규제경험 공유 FSCF 운영규정 개정 등

5.13, 워크숍 식품안전관리 시스템 내 디지털 데이터 활용 식품 안전정보 통합 노력 식품안전 이슈 대응 다분야 협력

 

이번 FSCF는 본회의와 워크숍으로 구성되며 첫째 날인 512일에 진행되는 본회의에서는 APEC FSCF 활동성과 국제기구와의 협력 FSCF 세부과제 추진 현황 식품안전 규제 경험 공유 FSCF 운영규정 개정 등을 논의한다.

 

특히 식약처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선도적으로 추진한 첨단 식품안전관리 혁신 사례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AI 기술로 위험을 예측하고 수입식품 서류검사를 자동화한 SAFE-i24 시스템과 QR코드로 소비자에게 올바른 식품 정보를 편리하게 제공하는 푸드QR’ 등을 모범 사례로 소개하는 한편 디지털 정보를 포함한 투명한 식품 정보 제공 및 관리에 대해 중국과 대만 사례를 함께 논의한다.

 

또한 국제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해 국제기구인 CodexAPEC 회원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소비자 보호와 지속 가능한 식품산업 성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각 회원의 주요 식품안전관리 체계를 논의한다.

 

* (한국) 건강기능식품 이상사례 수집 및 분석 제도

(태국) 식품·사료 신속 경보 시스템

(대만) 수입식품위해관리 모니터링 절차 등

 

513일에 진행하는 워크숍은 2025 APEC의 주제 및 중요과제*를 반영한 3개 세션**으로 구성하여, 식품안전관리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디지털 혁신 및 데이터 분석 활용 경험 공유를 중심으로 다양한 발표가 이어진다.

 

*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 가능한 내일 : 연결, 혁신, 번영

** (혁신) 식품안전관리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활용 (연결) 신규 이슈에 대한 정보통합 노력

(번영) 식품안전 이슈 관련 다분야 협력

 

우리나라는 식중독 조기경보 시스템, 스마트 HACCP 시스템, 식품 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등 주요 디지털 혁신 사례와 회원 간 정보 네트워크 활용 및 공동과제 해결을 위한 식품 위해정보 수집분석 체계, 식품 유래 항생제 내성 관리 현황 등 다양한 정책을 소개한다.

 

이와 함께 호주의 식품 이슈 사전 감시체계(VIBE*), 뉴질랜드의 환경영향 저해제** 규제, 대만의 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수입식품 안전관리 방안도 공유한다.

 

* VIBE (Vigilance and Intelligence Before food issues Emerge) : 식품관련 문제 발생 전에 정보수집과 감시를 지속하는 시스템

** 환경영향 저해제 : 농축수산물 재배, 생산단계에서 이산화탄소 발생 감소 등 환경에 악영향을 줄이기 위해 사용하는 농약, 동물용의약품, 사료첨가물 등을 말함

 

식약처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이번 행사는 아태지역 식품안전 협력을 강화하고 디지털 기술 등을 활용한 식품안전의 미래를 공유하는 중요한 자리였다, “특히 식약처가 추진한 다양한 디지털 혁신 사례를 APEC 회원들에게 널리 알리고 2025 APEC의 가치인 연결’, ‘혁신’, ‘번영을 실천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행사 준비 단계부터 적극 동참한 APEC 회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앞으로도 FSCF가 안전이 담보된 글로벌 식품 생산·유통 환경 조성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아태지역 식품 안전을 위한 국제 협력과 역량 강화를 주도하고 우리 식품안전관리 체계의 우수성을 널리 알려 글로벌 식품안전관리 선도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는데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붙임> 행사 개요

붙임

 

행사 개요

 

행사 개요

일시/장소 : ’25.5.12() ~ 5.13() / 제주 국제 컨벤션센터(제주도)

주제 홍보 메시지

주제

“Our Future where Sustainable Food Safety is Guaranteed”

(식품안전의 미래 : 연결, 혁신, 번영을 통한 지속 가능한 식품안전 보장)

 

홍보메시지

“Ensuring Food Safety by Digital Innovation for Co-prosperity”

(디지털 혁신으로 함께 번영하는 식품안전)

“A New Era of Food Safety Led by Korea”

(참여에서 주도로, 한국이 이끄는 식품안전의 새 시대)

행사 일정

식품안전협력포럼

5.12() / 영주홀B

5.13() / 영주홀A

식품안전협력 포럼

- 의장, 부의장 소개 및 인사

- 국제기구 및 협의체 등과 협력사항

- 추진사업 현황 및 승인 예정 사업 소개

- 식품안전제도, 이슈 관련 경험 공유

- 운영규정(ToR) 개정

- 식품안전협력포럼 결과 정리

식품안전협력 워크숍

- 식약처 식중독조기경보시스템

- 대만 수입식품 위해관리 모니터링

- 인증원 스마트 HACCP

- 정보원 위해정보 수집 및 분석

- 호주 식품 이슈 사전 감시체계

- 식약처 식품영양정보 DB, 항생제 내성

- 뉴질랜드 환경영향 저해제

 

*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2025. 0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