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
- 서비스소개
- >
- 목적
세계적 식품관리의 흐름

우리나라도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따라
수산물의 안전관리를 재평가하고 새롭게 수산물안전관리시스템을 정립하는 기초를 마련하였습니다.
01. 식품안전체계여건의 변화
- 교역량 증대 및 과학의 발달, 식품위해 요인증가, 식품안전 불확실성 증대 소비자의 식품안전요구 증대
- 수산물 수요증가, 수산물표시 / 인증수요증대, 식품안전행정 수요증, 과학적 위험분석요구 증대
- 새로운 식품안전체계 출현요구
02.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 구축
- 생산 > 유통 > 가공 > 판매 > 소비 전 과정의 안전성을 일괄관리
- 단계별 안전성 중점관리
03.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식품의 안정적 공급기반구축을 위한 정책과제
- 식품안전관리의 효율화 (위험평가기구 독립, 위험관리 일원화)
- 식품안전관리의 과학화 (위험분석 개념도입, 위험분석 연구 강화)
- 사전예방적 안전관리 정착 (사전예방체제 구축, Traceability 정착, 감시기능 강화)
- 식품행정 신뢰기반구축 (소비자 쌍방향커뮤니케이션, 소비자교육 및 홍보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