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칠맛의 대명사 ‘까나리’ | |||||||
![]() |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 ||||||
12월 제철수산물감칠맛의 대명사 ‘까나리’흔히 액젓의 원료로 알고 있는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는 연안의 모래바닥에 서식하는 농어목 까나리과의 바닷물고기이다. 언뜻 미꾸라지와 비슷해 보이지만 미꾸라지보다는 몸통이 굵고, 몸의 형태는 긴 원통형이며, 등은 푸르고 아랫배는 은백색이다. 주둥이가 뾰족하고 아래턱이 튀어나와 있다. 몸은 작은 둥근 비늘로 덮여 있고 등지느러미가 매우 길어 등 전체를 덮는다. 까나리는 분류학적으로 양미리와 다른 종이지만 강원도에서는 까나리를 양미리라고 한다. 어린 까나리는 건조되는 과정에서 반원으로 휘어지는데, 이 때문에 강원도에서는 어린 새끼를 '곡멸'이라 부르기도 한다. 까나리는 우리나라 전 연안과 일본, 알래스카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연안의 모래바닥에 무리를 지어 서식한다. 낮에 활동하고 밤에는 모래 속에서 지내는데, 수온이 15~19℃ 이상이 되는 5~6월경에 모래 속에 들어가 여름잠을 잔다. 여름잠을 자기 전에는 많은 먹이를 섭취하여 지방을 축적하고 체중을 늘린다. 모래 속에 3~5㎝ 정도 파묻혀 자며 먹이도 먹지 않는다. 이후 까나리는 수온이 17~18℃로 떨어지는 10월쯤 잠에서 깨어 활동을 한다. 산란기는 겨울~초봄으로서, 약 2,000~6,000개 가량의 알을 수심이 20~30m 되는 모래바닥에 낳는다.
뼈째 먹는 고칼슘, 고단백 생선 까나리는 다양한 요리로도 즐길 수 있다. 소금구이·볶음·조림·찌개 등의 요리로 이용되며 동해안 일부 지역에서는 회로 먹기도 한다. 이중 소금구이가 까나리 요리의 백미로 꼽히며, 까나리를 깨끗하게 씻은 뒤 내장을 꺼내지 않고 통째로 구워서 뼈째 먹는 것이 특징이다. 작은 까나리는 멸치처럼 삶고 말려서 먹기도 한다. 건조시킨 까나리는 멸치와 모양새가 비슷하지만, 까나리가 조금 더 날씬하고 길쭉하다. 볶음용으로는 멸치보다 한 수 위다. 멸치와 비슷한 맛이지만, 멸치의 끝맛이 조금 쓴 데 반해 까나리는 첫맛과 끝맛 모두 고소하다. 멸치는 크기에 따라 볶음용, 국물용으로 용도를 구분하나 까나리는 용도 구분없이 그냥 볶아서 먹는다. 간장 대용으로 쓸 수 있는 감칠맛 나는 까나리앳젓 만드는 법은 다음과 같다. ![]()
< 출처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 |
|||||||
<< 다음글 :: 김치의 단짝친구 ‘청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