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김치의 단짝친구 ‘청각’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1월  수산물소개

김치의 단짝친구 ‘청각’

  청각은 청각목 청각과에 속하는 녹조류의 하나로 빛깔은 검푸르고 대롱처럼 속에 구멍이 있고 불규칙하게 갈라져 사슴의 뿔과 비슷하다. 높이는 10∼30 cm, 굵기는 1.5∼3 mm 가량이고, 아래쪽이 좀 더 굵다.

  전 세계에 분포하며 온·난대 및 아열대 해역에 흔하다. 수심 1∼20 m의 깊이의 파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곳에서 자란다. 특히, 육지로부터 흘러 들어온 물의 영향이 적고 먼 바다에서 흘러 들어온 바닷물의 영향을 받는 곳에 많으며, 돌, 바위, 암석이나 조가비 등에 붙어산다.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는 청각은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등 아시아의 몇몇 나라에서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김치를 담글 때 넣으면 젓갈이나 생선의 비린내, 마늘 냄새를 중화시켜 뒷맛을 개운하게 하고 아삭아삭한 김치 맛을 유지시켜 주는 청각은 김장에 빠질 수 없는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항암, 면역 활성 성분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여러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는 유용 해조로 연구되고 있다.


  청각은 무기질이 매우 풍부하다. 특히, 청각 100 g 당 칼슘 함량은 성인 1일 칼슘 권장량인 700 mg과 비슷하며 칼륨의 함량은 135±31 mg 가량이다. 철분의 함량은 권장량의 3배 정도로, 갈조류인 미역, 톳, 다시마 등의 해조류보다 더 많다. 인 , 비타민 C, 섬유질도 풍부하고, 당분과 단백질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어린이 성장발육을 촉진하고, 배변을 용이하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항혈액응고 활성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고, 항암 및 면역 활성 성분 등도 있다.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는 아크릴산(acrylic acid)이 박테리아의 성장을 억제한다.

  청각을 구매할 때에는 생 청각은 통통하고 짙은 색을 띠며 윤기가 있는 것을 고르고, 마른 청각은 은빛이 도는 것을 고른다.

  구입 후에는 흐르는 물에서 이물을 제거하고 찬물에 20~30분 정도 불려 모래와 잡티를 모두 없앤다.

  생 청각은 끓는 물에 데친 후 사용하는데, 물을 넣지 않고 생 청각 자체만의 수분만으로 삶아서 찬물에 헹구면 좀 더 부드러운 식감을 느낄 수 있다. 마른 청각은 너무 오래 불리지 말고 사용 전 찬물에 20~30분 정도 불려 모래와 잡티를 제거한 후 문질러 씻은 다음 조리한다.

  마른 청각을 보관할 때에는 밀봉하여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둔다.

  청각은 주로 김장할 때 사용하지만 물에 데쳐 초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나물처럼 무쳐서 먹기도 한다. 미역처럼 갖은 양념을 해서 볶아먹기도 하고 청각냉국으로도 먹는다. 된장국에 넣기도 하고 효소발효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간단하게 청각을 즐길 수 있는 나물 조리법은 다음과 같다.

청각무침(나물)청각무침(나물)
식재료 청각 300g, 양파 50g(1/3개), 풋고추 15g(1개), 붉은 고추 15g(1개)
<양념> 고춧가루 1큰술, 송송 썬 실파 1큰술, 국간장 1큰술, 다진 마늘 1/2큰술, 통깨 1작은술, 식초 1큰술, 소금 약간
조리방법
  • 청각은 깨끗이 씻어 끓는 물에 살짝 데쳐 물기를 짜고 10cm 길이로 썬다.
  • 양파는 0.5cm 두께로 채 썰고, 풋고추와 붉은 고추는 씨를 빼고 송송 썬다(0.5cm).
  • 준비된 재료에 양념을 넣어 무친다.
< 출처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