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철 입맛 살리는 주꾸미 | |||
![]() |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 ||
|
주꾸미(Octopus ocellatus)는 연체동물, 머리에 발이 달린 두족강(頭足綱), 여덟 개의 팔을 가진 팔완목(八腕目), 문어과(科)로 문어와 한집안이나 부자나 형제관계는 아니다.
특히 주꾸미와 낙지는 그 형태가 비슷해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데, 주꾸미의 경우 8개의 다리가 모두 일정한 길이인 반면 낙지는 2개의 다리가 나머지 6개의 다리보다 훨씬 길다.
주꾸미는 몸통의 길이가 20㎝ 내외로 성장하고, 8개의 팔은 거의 같은 길이이며, 5~6월에 산란한다. 몸 빛깔은 변화가 많으나 대체로 자회색이고, 좌우 셋 째 번 팔의 연결된 부위에 황금색 눈 모양의 고리 무늬인 안상환(眼狀環)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야행성(夜行性)인 주꾸미는 낮에는 바위구멍이나 틈에 웅크리고 숨어 지내는데, 자산어보에는 주꾸미를 ‘죽금어’라 하고 한자로는 ‘웅크릴 준(蹲)’자를 써 ‘준어(蹲魚)’라 했는데, 한낮에 주꾸미가 바위틈이나 소라 껍데기 속에 웅크리고 있는 모습에서 나온 이름으로 생각된다.
주꾸미는 특이한 이름만큼이나 잡는 방법 또한 독특한데, 수심이 얕고 저질이 사니질(沙泥質)인 곳에서 소라 껍데기와 같은 조개 껍데기 속에 숨어서 서식 또는 산란하는 습성을 지닌 주꾸미는 모릿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소라 껍데기(실제는 피뿔고둥)를 달아 바다에 드리우면 자기들 알 낳으면서 잘 살라고 그런 줄 알고 태평스럽게 들어가 있다 산채로 잡혀 올라온다. 이 어구를 현지 어민들은소라방이라 부르는데, 소라 껍데기와 기름 값 말고는 거의 밑천이 들지 않는 데다 산채로 판매할 수 있어 유리한 반면 어획량이 적다.
반면에 물때를 이용해 반강제적으로 끌어올리는낭장망은 물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그물을 진행시켜 대량으로 주꾸미를 거두어들이기 때문에 많은 양을 잡을 수 있지만 대부분이 죽은 채로 올라와 다소 상품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다.
‘봄 주꾸미, 가을 낙지’라는 말이 있을 만큼 봄은 주꾸미가 알을 배는 시기로 가장 맛있고 영양 많은 주꾸미를 맛볼 수 있는 계절이다. 특히 산란전 4, 5월에 잡히는 주꾸미는 투명하고 맑은 알이 가득 차 있어 어느 계절보다 특이하고 쫄깃한 맛이 난다. 삶은 알은 흡사 밥알 모양으로 생겨 현지에선주꾸미 밥으로 불리는 봄철의 별미이다.
자료: foodsafety
| |||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