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집 로고 이 누리집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공지능(AI) 예측으로 위험도 높은 수입식품 걸러낸다
출처
출처
수산물안전정보서비스
작성일
작성일
2025-11-18 03:53:21
 
안전정보
 

인공지능(AI) 예측으로 위험도 높은 수입식품 걸러낸다

- 세부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농·수산가공식품류 ‘AI 위험예측 모델신규 개발

- 위험도 높은 식품에 정밀검사 집중, 검사업무 효율화 및 안전관리 강화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위해도가 높은 수입식품의 국내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가공식품 중 농산가공식품류*’수산가공식품류**’의 특성을 반영해 개발한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을 내년 1월부터 수입 통관검사에 적용한다고 밝혔다.

 

 

* 전분류, 밀가루류, 땅콩 또는 견과류가공품류, 시리얼류 등

** 어육가공품류, 젓갈류, 건포류, 조미김 등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축적된 과거 부적합 내용, 원재료 등 수입식품 검사 정보기상, 수질 등 해외 환경 정보회수, 질병 등 해외 위해정보를 융합한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학습하여 부적합 가능성(위험도)이 높은 식품을 통관 과정에서 자동으로 선별하는 모델이다.

 

 

<인공지능 기반 수입식품 위험예측 시스템>


 

 

기술발전, 환경오염 등 식품안전 위협 요인이 복잡·다양해지고 수입식품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식약처는 ’23년부터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7개 품목별** 위해요소의 특징을 반영한 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고위험 식품을 보다 정밀하게 식별하기 위해 ’2412월부터 가공식품 중 과자류·조미식품의 통관단계 무작위검사***대상을 선별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 수입 건수 (‘20) 75만건 (’22) 80.2만건 (’24) 84.6만건

**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식품첨가물, 기구 및 용기포장,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 표본추출계획에 따라 물리화학미생물학적 방법으로 실시하는 검사(서류현장검사 포함)

 

 

올해 개발된 농산가공식품류와 수산가공식품류의 인공지능(AI) 위험예측 모델12월까지 시범운영하면서 시스템 정상 가동 여부 등을 점검한 후 내년 1월부터 수입식품 통관검사에 본격 적용한다.

 

향후 수입량이 많고 부적합률이 높은 가공식품의 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세부 모델 개발을 확대하는 등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이 수입식품을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입식품 안전관리 혁신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붙임> 1. 인공지능 위험예측 모델 개요

2. 통관단계 수입식품 안전관리 체계

3. 2024년 수입식품 등 현황

* 자료 :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2025. 11. 13.)


첨부파일
첨부파일
붙임.hwp